임승빈, 김태우, 전재연, 권준현, 고준호, 이수기 (2025), 수도권 GTX 노선 도입이 접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: GTFS 데이터를 활용하여, 국토계획 60권 1호, pp.87-103. (2025.2)
오관용, 고준호, 장승화, 김대진 (2024). 도시 개발 및 교통체계 정비 사업에 따른 장래 보행량 추정 연구: 서울국제교류복합지구 사례 분석, 대한교통학회지 42권 5호, pp.518-532. (2024.10)
이나영, 고준호, 김효정 (2024), 공공성 관점에서의 행정복지센터의 외부공간 및 저층부 계획 특징 -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0권 10호, 47-58 (2024.10)
금창익, 고준호, 김인희 (2024). 서울시 행정동별 중심성 변화요인 분석 – 2010-2018년 OD 차이를 중심으로, 도시재생 (2024.8)
황정현, 고준호 (2024). L-function과 KDE를 이용한 서울시 보행교통사고 잦은 곳의 공간적 범위 설정과 특성 분석, 대한교통학회지 42권 3호, pp. 313-330. (2024.6)
김슬기, 고준호 (2024). 통신자료를 활용한 활동인구 연령계층의 혼합도 측정과 영향요인:서울시를 사례로, 국토계획 59권 1호, pp. 161-175. (2024.2)
김민준, 손상훈, 고준호 (2024). 인구통계적 특성, 전기차 관련 이용 행태 및 만족도가 전기차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, 대한교통학회지 42권 1호, pp. 47-59. (2024.2)
이혁준, 박종한, 고준호, 김동성 (2023). 버스베이 설치에 따른 통행시간비용 절감효과 분석 : 왕복 4차로 도로를 중심으로, 대한교통학회지 41권 5호, pp. 577-592. (2023.10)
박종한, 고준호 (2023). 경유지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자전거 통행발생량 추정 모형 개발, 한국ITS학회논문지 22권 3호, pp. 1-19. (2023.6)
유승남, 고준호 (2023). 수도권 성장기능 이전이 국가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: 혁신도시를 중심으로,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5권 2호, pp. 1-16. (2023.6)
김원진, 박재홍, 유정훈, 고준호 (2023). 이용환경 측면의 UAM 버티포트 입지 기준 연구, 대한교통학회지 41권 2호, pp. 212-225. (2023.4)
한태경, 고준호, 김대진, 박종한 (2022). 영상검지자료를 활용한 신호교차로 접근차량의 탄소배출량 추정, 한국ITS학회논문지 21권 6호, pp. 115-131. (2022.12)
황정현, 고준호 (2022), 고령운전자 면허제도 개선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 효과 분석, 치안정책연구 36권 4호, pp.217-249. (2022.12)
이상하, 고준호, 노정현 (2022), 외식사업 배달·테이크아웃 비중과 사업장 면적의 연관성 분석, 도시부동산연구 13권 3호, pp.63-88. (2022.09)
이혁준, 박종한, 고준호 (2021). 자율주행 자동차 도입 수준에 따른 도시부 도로 탄소배출량 감소효과 추정, 한국ITS학회논문지 20권 6호, pp. 162-176. (2021.12)
김민경, 고준호 (2021).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지역 주민의 이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,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3권 4호, pp. 181-204. (2021.12)
박종한, 고준호, 이혁준, 장준석 (2021).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택시합승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, 대한교통학회지 39권 5호, pp. 580-592. (2021.10)
고준호, 남궁옥, 홍상연 (2021). 서울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수준 평가, 모빌리티연구 1권 2호, pp. 43-55. (2021. 9).
이소민, 고준호, 박순용, 이명훈 (2020). 미시적 관점에서의 시간대별 길찾기 앱 사용 여부의 결정요인 분석, 교통연구 27권 4호, pp. 45-63. (2020. 12.)
이호준, 고준호, 장준석, 이수기 (2019). 자율주행 공유 자동차 도입에 따른 서울시 주차수요 변화 예측,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54권 4호, pp. 48-60. (2019. 8.)
장재민, 고준호 (2019). 근로자의 통근시간 만족도 결정요인 연구: 경기도 거주자를 중심으로, 대한교통학회지 37권 4호, pp. 290-301.
김태형, 고준호 (2016). 대도시 토지이용 압축도 지표의 개발 및 적용: 서울시를 대상으로, 서울도시연구, 제17권 제1호, pp.1-21. (2016. 3.)
이수기, 고준호, 이기훈 (2016). 근린환경특성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: 서울서베이 2013년 자료를 중심으로, 국토계획, 제51권 제1호, pp.169– 187. (2016. 2)
장재민, 김태형, 고준호 (2015). 프리미엄 아울렛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: 아울렛 이용자 특성분석을 중심으로, GRI 연구논총, 제17권 제3호, pp.73-91 (2015. 12)
곽하영, 고준호, 이승호, 조창현 (2015), 강우가 차량통행패턴을 통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모형화, 기후연구, 제10권 제2호, pp.183-192. (2015. 6.)
박지훈, 고준호 (2014),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지역별 할당 방법 비교분석: 서울시를 사례로, 서울도시연구, 제15권 제4호, pp.65-78. (2014. 12.)
고준호, 김태형 (2013), 보행경로 선택 행태 분석: 최단경로 선택 요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, 서울도시연구, 제14권 제4호, pp.157-169. (2013. 12.)
김태형, 고준호 (2013), 대중교통전용지구 선정기준 분석: AHP 적용 및 평가, 서울도시연구, 제14권 제2호, pp.211-225. (2013. 6.)
김태형, 고준호 (2012), 계획가 특성에 따른 계획이론의 실무적합성 분석,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, 제25집 제2호, pp.93-119. (2012. 6.)
고준호, 이성훈 (2011), 집계자료를 이용한 수도권내 승용차 통행의 고속도로 의존도 분석, 대한교통학회지, 제29권 제6호, pp. 7-16. (2011. 12.)
이창, 고준호, 강영은, 이태경 (2011), 강우에 의한 서울시 대중교통서비스 변화분석, 대한국토·도시계획학회지, 제46권 제7호, pp. 73-87. (2011. 12.)
고준호, 이세희, 김태형 (2011), 수도권 내 지역별 활동시간 특성 분석, 교통연구, 제18권 제1호, pp. 39-52 (2011. 3.)
고준호, 최유진, 이세희, 이태경 (2009), 기존 교통량/대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자료를 활용한 상관성 분석, 대한교통학회지, 제27권 제5호, pp. 29-37. (2009. 10.)
김태호, 고준호, 원제무 (2008), 변형된 IPA 분석기법을 활용한 도시부 도로 서비스 질 평가, 한국도로학회논문집, 제10권 제2호, pp. 91-100. (2008. 6.)
김태호, 고준호, 원제무, 허억 (2008), 운전능력에 연관된 인적특성의 연령 임계점 연구, 한국안전학회지, 제23권 제3호, pp. 71-78. (2008. 6.)